ESG복지경영
ESG 실천전략

ESG를 실천하는 복지관
[E] 기후위기상황에서 지속가능한 복지모델을 만들어가고
[S] 지역사회 사회적책임을 다하며
[G] 민주적이고 투명하게 ESG 복지를 실천하고 있습니다
[S] 지역사회 사회적책임을 다하며
[G] 민주적이고 투명하게 ESG 복지를 실천하고 있습니다
생태복지실천
Environmental
Environmental
기후위기 상황에서 지속가능한 복지 모델을 만들어 갑니다
1. 기후위기 전달기관 역할 수행
- 기후위기 취약계층 보호와 지원을 위한 시스템을 구축합니다.
- 기후재난 긴급지원 예산을 확보합니다.
- 기후 약자 지원을 위한 사업을 개발합니다.
2. 주민참여 환경운동
- 지역사회에서 환경 교육의 기회를 확대합니다.
- 생명존중, 환경보호 활동을 공유합니다.
3. 생활 속 탄소중립 실천
- 일회용품 사용을 최소화 합니다.
- 양면출력, 이면지 활용을 지향하며, 더 나아가 종이 사용은 신중하게 합니다.
- 탄소배출 절감을 위해 노력합니다. (메일 삭제, 플로그 뽑기, 모니터 끄기, 계단이용 등)
사회책임
Social
Social
지역사회에서 사회적 책임을 다합니다
1. 다양한 주체들과 사회적 책임을 위한 협력
- 공동의 목표를 위해 상호연계하고 전문성을 발휘합니다.
- 실천 경험과 정보를 나누며 공유복지의 장을 만듭니다.
2. 지역사회의 문제와 지역주민의 욕구에 대응
- 지역주민의 의견을 경청하고 반영하여 적시에 사업을 추진합니다.
- 돌봄이 필요한 이웃을 위한 안전망을 확장합니다.
3. 함께 성장하는 지역사회
- 지역주민의 참여와 협력으로 지역사회문제를 해결합니다.
- 사회적기업, 지역상점, 기관들과 함께 역량을 강화합니다.
민주적이고 투명한 운영체계
Governance
Governance
민주적이고 투명하게 운영합니다
1. 존중과 배려
- 지역사회(환경), 지역주민을 존중합니다.
- 직원 상호 간 신뢰를 바탕으로 협력합니다.
2. 투명과 공정
- 민주적이고 수평적인 조직 운영을 지향합니다.
- 투명하고 합리적인 기관 운영으로 신뢰도를 높입니다.
3. 소통과 참여
- 이해관계자들을 상호 존중하며 의견을 적극 반영합니다.
- 의사결정과정에 다양한 목소리를 담아 소외를 최소화합니다.
복지관의 SDGs (지속가능발전목표)
SDGs (지속가능발전목표)는 인류의 보편적 문제(빈곤, 질병, 교육, 여성, 아동, 난민, 분쟁 등)와 지구 환경문제(기후변화, 에너지, 환경오염, 물, 생물다양성 등), 경제 사회문제 (기술, 주거, 노사, 고용, 생산 소비, 사회구조, 법, 대내외경제)를 2030년까지 17가지 주 목표와 169개 세부목표로 해결하고자 이행하는 국제적 공동목표입니다.
목표1 . 빈곤퇴치
- 사례관리사업
- 연탄은행+에너지지원
- 무료급식, 재가도시락사업
- 어린이결연후원
- 위기가구지원
목표2 . 기아종식
- 사례관리사업
- 무료급식, 재가도시락사업
- 위기가구지원
목표3 . 건강과 웰빙
- 스마트사회적처방
- 교육문화사업, 건강한상
- 노인맞춤돌봄서비스
- 원인동 마을관리소
- 무료급식
- 케어뱅크
- ICT 돌봄
목표4 . 양질의 교육
- 교육문화사업, 건강한상
- 스마트사회적처방
- 사례관리사업
- 어린이결연후원
- 우리도그림책
- 디지털학교
- 슈퍼브레인
- 미디어복지
- 우리도강사(마을관리소)
목표7 . 모두를 위한 깨끗한 에너지
- 기후위기지원사업
- 사례관리사업
- 에너지지원사업
- 도시가스체납가구지원
목표10 . 불평등 감소
- 노인맞춤돌봄서비스
- 사례관리사업
- 미디어복지
- 디지털학교
- 가치돌봄
- 원인동 마을관리소
목표11 . 지속가능 도시와 지역사회
- 기후위기대응: 노후주택개선지원
- 원인동 마을관리소
- ICT 돌봄
목표12. 책임있는 소비와 생산
- 기후위기전담기관
- 기후위기대응:자원 정거장
13. 기후행동
- 기후위기전담기관
- 에너지지원
- 꿀벌식당(마을관리소)
- ICT 돌봄, 스마트경로당
17. 목표달성을 위한 파트너십
- 민관학 스마트복지협의체
- 사회적처방회의
- 통합사례회의
- 지역사회네트워크
